[OSPF 설정] Stub Area에서 디폴트 설정
📌 시나리오
-
Hub Router: ABR 역할, Area 0(백본)과 Area 1(Stub) 연결
-
Remote Router (지사): Area 1(Stub)에 속함
-
지사에서는 인터넷 트래픽을 세세한 외부 Prefix(Type 5)로 배우는 대신, 허브가 내려주는 Default Route만 사용
📌 실제 IP 예제
-
Hub Router (ABR)
-
Loopback0: 1.1.1.1/32 (Router-ID)
-
Gi0/0: 10.0.0.1/30 (Area 0, 본사 코어 쪽)
-
Gi0/1: 192.168.1.1/30 (Area 1, 지사 쪽)
-
-
Remote Router (지사)
-
Loopback0: 2.2.2.2/32 (Router-ID)
-
Gi0/0: 192.168.1.2/30 (Area 1, 허브와 연결)
-
LAN: 172.16.1.1/24
📌 OSPF 설정 예제
Hub Router
area 1 stub no-summary → 이 Area(1)는 Stub이고, ABR에서 Default Route(0.0.0.0/0)만 내려줌.// no-summary를 넣지 않으면 → Stub Area: Type 5(External)는 막고, Summary(Type 3) LSAs는 통과.// no-summary를 넣으면 → Totally Stub: Type 3/5를 모두 막고, 오직 Default Route만 Area 1에 내려줌.Remote Router
area 1 stub → 이 라우터도 Stub Area임을 선언.📌 Hello Packet (Wireshark에서 Stub Area Flag)
-
Remote(2.2.2.2)가 Hub(1.1.1.1)로 Hello 전송 시:
-
Hub도 Area 1을 Stub으로 선언했으므로 동일하게 E=0.
-
두 인터페이스 모두 “Stub Area”에 속한다고 확인 → Neighbor 형성 OK.
📌 동작 결과 (라우팅 테이블 차이)
-
Remote Router (2.2.2.2)의 OSPF Routing Table:
👉 외부 LSA(Type 5)는 하나도 안 보이고, 대신 Default(0/0)만 있음.
-
Hub Router(1.1.1.1)의 OSPF Routing Table (Area 0에서 외부 Redistribute된 경우):
👉 Hub는 외부 경로를 그대로 알고 있음. 하지만 Area 1(Stub)에는 flood하지 않음.
다른 Area에서 Stub Area 네트워크로 접속도 가능합니다. Stub/Totally-Stub이라고 해서 안쪽 네트워크가 외부에 “안 보이는 것”은 아닙니다. Stub Area 내부 네트워크는 여전히 "Type 1/2 LSA(자체 Router/Network LSA)"로 ABR까지 올라옵니다. ABR이 이걸 다른 Area로 Summary(Type 3)로 광고해주기 때문에, 다른 Area에서도 Stub 네트워크를 인지하고 접근 가능합니다.
👉 즉, “Stub에서 외부를 못 본다”는 거지, 외부가 Stub을 못 본다는 건 아닙니다.